[데이터] 친구 수 평균 15.2명
인간관계 유형 변화 보고서

목차
1. Z세대는 어디까지 친구로 인식할까?
2. Z세대 10명 중 7명, 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 있다
3. 친구 관계 유지에 ‘싫어하는 행동 하지 않는 것’ 중요!
4. 친한 친구 결혼식 축의금, 최대 22.1만 원까지 가능!
5. 장소 대관부터 시밀러룩까지, Z세대의 이벤트 문화



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Z세대가 친구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데이터로 알고 싶으신 분
  • 요즘 친구 관계 유지 방법, 적정 경조사비가 궁금하신 분
  • 온라인 기반 관계의 중요성을 아직 체감하지 못하신 분


서이추, 스하리, 트친…. 이런 표현에 익숙하신가요? 각각 네이버 블로그, 스레드, 엑스(구 트위터)에서 ‘친구’를 맺는 과정을 부르는 말입니다. 이들과의 관계가 곧 SNS를 하는 이유가 될 만큼 영향력이 커지고 있죠. 최근 Z세대 사이에서는 실친(실제 친구)과 온라인 기반 관계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데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데이터] 관계·커뮤니케이션 정기조사 2025를 바탕으로 Z세대의 친구 관계, 온라인 기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 Z세대는 어디까지 친구로 인식할까?



Z세대에게는 총 몇 명의 친구가 있을까요? 조사 결과, 친구·지인의 수평균 15.2명이었습니다. 다른 세대와 비교해 5명가량 많았어요(후기 밀레니얼 9.5명, 전기 밀레니얼 7.5명, X세대 8.8명, 86세대 10.8명). 친한 친구평균 5.8명으로 세대 중 가장 많은 편이었고요(후기 밀레니얼 4.5명, 전기 밀레니얼 3.6명, X세대 3.7명, 86세대 4.2명).

즉 ‘친구’라고 했을 때 Z세대가 떠올리는 범위는 다른 세대보다 더 넓은 경향이 있었습니다. 물론 연령 특성상 학급이나 학과 친구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죠. 다만 Z세대가 친구라고 생각하는 관계의 유형에 대한 데이터를 살펴보면 또 다른 측면을 확인할 수 있어요.


친구라고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을 조사했을 때 전체와 Z세대 응답률은 다소 상이했는데요. Z세대의 특징을 더 명확하게 보기 위해 Gap(전체 - Z세대 %p)을 따져봤습니다. 그 결과 Z세대 1위로 꼽힌 연인·애인(52.7%, 이하 Z세대 응답률)의 Gap이 가장 두드러졌어요. 그다음으로 룸메이트·하우스 메이트(30.3%), 반려동물(29.3%) 등 (유사)가족의 범주에 들어가는 관계를 친구라고 보는 Z세대가 전체에 비해 많았고요.

이어지는 관계의 유형이 눈에 띄는데요. SNS 팔로워·구독자·이웃(19.7%)과 팬덤(16.3%), 온라인 커뮤니티·카페 회원(20.7%)의 Z세대 응답률이 전체에 비해 높았어요. 이들 모두 온라인 기반 관계라는 특징이 있죠. 혹시 얼마 전 유튜브 콘텐츠 ‘의뢰자’에서 프로미스나인 전 멤버 이서연의 생일 카페(생카)에 간 팬들을 본 적 있으신가요? 인터뷰를 하던 진행자 장우영이 “서로 관련 없어 보이는데 어떻게 된 사이”인지 묻자, “인터넷에서 만나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는 답이 나왔죠. 이처럼 Z세대는 SNS·커뮤니티 등에서 만난 온라인 친구와 팬덤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모임을 갖거나, 행사에 갔다가 실친이나 덕메(덕질 메이트)로 발전하는 일이 흔해졌습니다.


2. Z세대 10명 중 7명, 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 있다

 

이번 조사에서 Z세대 10명 중 7명(72.3%)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가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리고 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의 성격으로는 취향·취미(47.9%) 기반이 압도적인 1위였어요. 이어 팬덤 및 학교(각 27.6%) 기반 관계가 공동 2위, 성격·성향 및 나이·연령(각 27.2%) 기반 관계가 공동 4위였고요. 
'앗! 여기서부터 진짜 필요한 내용인데'
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 관련 콘텐츠를
더 보여드릴까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 콘텐츠 모아보기
글자 크기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