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예감

굿즈부터 밈까지 요즘 유행은 다 여기서 나옴
놓치면 안 되는 트렌드: 마인크래프트

목차
1. 프로필 사진부터 유행어까지? SNS를 점령한 마인크래프트 밈
2. 마인크래프트 합성이 최신 비주얼 트렌드라고?
3. 마인크래프트 굿즈가 ‘SNS 품절템’으로 통함!
4. 마인크래프트 속 식량 아이템을 본뜬 F&B 제품이 인기임
5. 마인크래프트로 ‘K팝 덕질 콘텐츠’ 만드는 게 유행 중?



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마인크래프트를 아동용 게임이라고만 생각하시는 분
  • 요즘 뜨는 비주얼 트렌드가 궁금하신 분
  • 20대 소비자 타깃으로 효과적인 IP가 궁금하신 분


“마인크래프트, 초등학생들이 하는 게임 아니야?”라고 생각하시는 분 계신가요?

마인크래프트는 블록을 이용해 자유롭게 건물, 마을 등을 제작할 수 있는 게임입니다. 현시점,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게임이기도 하죠. 2023년 10월 기준, 마인크래프트는 누적 판매량 3억 장을 돌파하며 가장 많이 팔린 비디오 게임으로 자리매김했는데요.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올해 4월 실사화 영화 ‘마인크래프트 무비’가 개봉하기도 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아이템을 합성한 사진 편집법
출처 @thatguymoe_07(인스타그램)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아동용 게임으로 여겨지던 마인크래프트가 ‘게임을 하지 않는 20대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흐름이 생기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일명 ‘마인크래프트 코어’가 트렌드로 떠오른 것인데요. 지난해 아동용 애니메이션 ‘사랑의 하츄핑’이 이슈가 되며, ‘파산핑’과 같은 OO핑 밈이 SNS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후 하츄핑 관련 IP가 2030 사이에서도 유행하기 시작했고요. 이와 유사하게 마인크래프트 IP가 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는 겁니다.

특히 마인크래프트 특유의 비주얼을 힙하다고 여기며 소비하는 흐름이 눈에 띄어요. SNS에서는 마인크래프트 특유의 그래픽 디자인을 활용한 사진 편집법부터 마인크래프트 관련 굿즈가 유행하는 모습이 연이어 포착되고 있는데요. 더 나아가, 마인크래프트 관련 밈이 인기를 끄는 등 마인크래프트 자체를 아동용 게임이 아닌, ‘트렌디한 게임’으로 여기는 경향성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출처 커뮤니티, 인스타그램, @kuozzu(엑스)

✔ 마인크래프트 IP, 갑자기 왜 뜨기 시작한 걸까?

  • “K팝 팬덤 사이에서 마인크래프트가 유행하면서 인기가 커졌어요”
올해 초부터 K팝 팬덤 사이에서 마인크래프트가 확 뜨기 시작했어요. 최근 마인크래프트로 팬사인회 공간을 구현해서 상황극을 하고 노는 게 유행 중이고요. 최애 사진에 마인크래프트 유행어를 합성한 짤도 자주 공유되더라고요. 이렇게 아이돌 판에서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아동용 게임으로 취급되던 마인크래프트가 20대 사이에서도 유행하게 된 것 같아요. 권경희(26세, 직장인)

  • “해외에서 마인크래프트 영상이 유입되면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작년부터 인스타그램에서 해외발 마인크래프트 밈 영상이 자주 보이기 시작했는데요. 그 후로 한국 계정에서 만든 마인크래프트 밈 영상이 확 늘어나기 시작하더라고요. 예를 들어 한국 ‘까탈레나’ 노래에 마인크래프트 캐릭터가 춤추는 영상 같은 거요! 이런 영상들이 퍼지면서 머글 사이에서도 마인크래프트가 친숙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김연아(24세, 취업 준비생) 

출처 마인크래프트
  • “산리오 콜라보 이후 마인크래프트 언급이 늘어났어요”

올해 1월, 마인크래프트가 산리오와 콜라보해 ‘헬로키티 월드’라는 맵을 출시했는데요. 마인크래프트 특유의 네모난 형태인 산리오 캐릭터들을 직접 플레이할 수 있어서 엄청 화제가 됐어요. 산리오를 좋아하는 1020 여성들도 이때 마인크래프트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더라고요. 그 이후로 SNS에서 마인크래프트 언급이 활발해진 것 같아요. 유형주(25세, 직장인)

오늘의 콘텐츠에서는 Z세대 사이에서 뜨고 있는 마인크래프트 코어 트렌드를 총정리했습니다. Z세대 사이에서 핫하게 뜨고 있는 비주얼, 굿즈, F&B 트렌드부터, 문화까지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을 거예요.


1. 프로필 사진부터 유행어까지? SNS를 점령한 마인크래프트 밈

Z세대가 자주 사용하는 밈에는 그들의 관심사가 녹아있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지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마라탕후루’ 챌린지를 살펴볼까요? Z세대 사이에서 ‘마라탕’을 먹은 후 후식으로 ‘탕후루’를 먹는 코스가 새로운 식문화로 떠오르면서 ‘마라탕후루’ 챌린지까지 대유행하게 되었죠. 그런데 지난해부터 ‘마인크래프트’ 관련 밈이 줄지어 인기를 끄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어요.

‘해피 가스트’ 캐릭터를 밈으로 활용한 모습
캐릿 가공 이미지

우선, 마인크래프트 캐릭터가 밈화되고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캐릭터 중 하나인 ‘해피 가스트’는 해파리 형태의 몬스터인데요. 해피 가스트가 미소를 띄고 있는 짤이 기분 좋고 행복해 보인다는 반응과 함께 SNS로 퍼지며, 밈으로 활용되기 시작했어요. Z세대는 기분이 좋은 일이 있을 때, 해피 가스트 짤로 기분을 대변하고요. 최근에는 아예 ‘행복한 기분’ 혹은 ‘웃고 있는 모습’을 가리켜 ‘해피 가스트’라고 부르기도 해요. ‘지금 상태: 해피가스트임’, ‘내 최애 미소 완전 해피 가스트임’이라고 말하는 식으로요. 마인크래프트 캐릭터가 특정 상태를 의미하는 대명사처럼 활용되고 있는 거죠.


출처 @neujeok, @zanmang_loopy (인스타그램)

마인크래프트 관련 유행어도 인기를 끌고 있어요. SNS 게시물의 제목이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면 Z세대 사이에서 뜨는 유행어를 포착할 수 있는데요. 지난해부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게시물 등에 부쩍 자주 쓰이는 유행어가 바로 ‘그녀가 마인크래프트 그만하래 거기에 같이 살 집 짓고 있는데’와 ‘나한테 명령하지 마 나한테 명령할 거면 마인크래프트 명령어로 말해’예요.



이 유행어들이 K팝 팬덤 사이에서도 흥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해요. 최애 사진에 두 유행어를 자막처럼 덧붙인 짤이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거든요. 마인크래프트 유행어를 즐겨 사용하는 대상이 알파세대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인 셈입니다. 

"마인크래프트 밈이 흥하면서 마인크래프트 자체가 친숙해졌어요”
작년부터 ‘그녀가 마인크래프트 그만하래’ 같은 마인크래프트 유행어가 SNS에서 자주 보이기 시작했어요! 유행어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게임 짤이나, 연예인 사진에 유행어를 합성해서 만든 짤도 자주 공유되더라고요. 특히 마인크래프트 유행어가 인기라고 느낀 포인트가 있는데요. K팝 팬들이 아이돌 라이브 방송에서 마인크래프트 유행어를 직접 읊어보도록 요청하는 일이 많아졌다는 거예요. K팝 팬덤 사이에서는 유행하는 밈이 있으면, 내 최애가 말하는 걸 보고 싶어서 직접 시켜보는 문화가 있거든요! 이렇게 밈이 활발하게 쓰이는 걸 보면서 마인크래프트를 잘 모르던 사람도 마인크래프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아요. 강다연(25세, 직장인)

2. 마인크래프트 합성이 최신 비주얼 트렌드라고?

마인크래프트의 특징은 세계 속 모든 요소가 ‘네모난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마치 픽셀 그래픽처럼요. 최근 이러한 마인크래프트 특유의 비주얼이 ‘힙한 감성’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SNS에서는 실제 사진에 마인크래프트 게임 아이템이나 효과를 합성하는 편집법이 유행 중인데요. 일상 사진에 픽셀 그래픽 요소를 더함으로써, 마치 ‘게임 속 세계’에 사람이 들어간 듯한 이색적인 연출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해당 트렌드는 해외 인플루언서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는데요. 국내 아이돌, 인플루언서도 마인크래프트 아이템을 합성한 사진을 업로드하며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어요. 더 나아가, 아이템뿐만 아니라 마인크래프트 배경에 사람을 합성하는 편집법까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출처 @nctwishofficial, @seungrangverse(엑스)인기에 힘입어 SNS에서는 마인크래프트 사진 편집 튜토리얼이 공유되고 있어요. 사진에 합성하기 좋은 마인크래프트 스티커, 프레임을 제작해 배포하기도 해요. 누구나 손쉽게 마인크래프트 비주얼이 가미된 사진을 만들 수 있도록요. 이러한 콘텐츠는 좋아요 수 4만 회가량을 기록할 정도로 Z세대 사이에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앗! 여기서부터 진짜 필요한 내용인데'
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

게임 관련 콘텐츠를
더 보여드릴까요?

게임 콘텐츠 모아보기
글자 크기 조절